종교나 신앙의 자유는, 외교부 정책의 우선순위이자 북한 인권 전략의 핵심 가닥
영국 정부 2016년부터 북한을 ‘인권 우선국’으로 분류
영국 외무부 ‘인권과 민주주의 연례보고서’···“북한 정부는 계속해서 인권 침해 혐의 부인”
![]() |
영국 외무부 청사(사진=외무부홈페이지) |
영국 외무부가 북한 인권 전략의 핵심으로, 종교와 신앙의 자유를 꼽았다.
❚종교나 신앙의 자유는, 외교부 정책의 우선순위이자 북한 인권 전략의 핵심 가닥
앤마리 트레블리안 영국 외무부 국무상은 2일 “영국은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을 해결하는데 계속 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 기독교 선교단체 오픈 도어즈는 지난달 18일 ‘2023 세계 기독교 감시 목록(2023 World Watch List)’ 보고서에서, 세계 최악의 기독교 박해 국가로 북한을 지목했다.
트레블리안 국무상은 위의 보고서가 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해, 위처럼 답했다.
그러면서 “모든 사람을 위한 종교나 신앙 자유에 대한 권리는 영국 외무국제개발부(FCDO) 정책의 우선순위이자 북한 인권 전략의 핵심 가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이를 북한 당국과 유엔에 정기적으로 제기하고 있다”며 “2022년 12월 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공개 협의 중에 북한 인권 상황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영국 정부 2016년부터 북한을 ‘인권 우선국’으로 분류
이어 영국은 북한인권결의안을 공동 제안했다. 2022년 11월 16일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합의된 방식이다.
그러면서 “이 결의안은 북한 정부에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조직적이며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종식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고 종교나 신앙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지지해야 한다는 정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오랜 요구를 반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정부는 앞서 2016년부터 북한을 ‘인권 우선국’으로 분류해왔다. 인권 우선국이란, 인권 문제 해결이 우선순위에 꼽히는 국가다.
❚영국 외무부 ‘인권과 민주주의 연례보고서’···“북한 정부는 계속해서 인권 침해 혐의 부인”
영국 외무부는 지난해 ‘세계 인권의 날’을 맞아, 12월 9일에도 북한의 인권 상황을 지적했다. 이날 ‘인권과 민주주의 연례보고서’를 내고, 북한의 극심한 인권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으며, 북한 정부는 계속해서 인권 침해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상현 press@blu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