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기획특집] 6.25 남침전쟁, 대한민국을 도와준 나라들 ③ 캐나다

기사승인 2016.06.07  14:03:07

공유
ad37
default_news_ad2

- 북한 남침에 소련의 공산화 확산 의도 판단…전쟁 후에도 3년 간 감시자로

1950년 6월 25일은 북한 공산군이 남한을 불법 남침한 6·25 전쟁이 벌어진 날입니다. 6·25남침 전쟁에는 세계로 확산하던 공산주의로부터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변두리 국가’였던 남한에 참전해 피를 나눈 국가가 있었습니다.

6·25전쟁은 같은 동포가 우리에게 칼을 겨룬 전쟁이자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간 첨예한 대립이 빚은 국제적인 비극입니다.

본지에서는 6·25 남침전쟁 66주기를 맞아 UN참전 용사의 호국정신을 되새기고자 북의 공산화 남침전략으로부터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기꺼이 목숨 바친 UN 소속 국가의 참전 배경에 대한 기획특집을 연재합니다.

▲ 국제 기구 및 UN회원국들 브라질, 대만, 쿠바, 에콰도르, 아이슬란드, 레바논, 리베리아, 멕시코, 니카라과, 파키스탄,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그리고 베네수엘라도 전쟁 기간 동안 한국에 대한 물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 인터넷 캡처

1950년 6월 25일,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인해 6.25전쟁이 발발한다. 이에 유엔은 1950년 6월 28일 제2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 연합군을 결성하여 파병할 것을 결의했다.

유엔 연합군의 이름으로 전투병력과 장비 등을 지원한 전투지원 16개국과 병원선, 의료진, 의약품 등을 지원한 의료지원 5개국 등으로 총21개국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국가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을 결정했다.

오늘은 16개 병력지원국 중 캐나다의 6·25(남침)전쟁 참전 배경 및 캐나다의 국가 개황에 대해 알아보자.

캐나다의 6·25(남침)전쟁 참전 배경

▲ ⓒ 인터넷 캡처

미합중국의 이웃 국가이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이었던 캐나다는 북의 기습 남침 이면에는 소련 공산화 확장 욕구가 있을 것이라고 인식했다.

이러한 이유로 캐나다는 북의 남침이 유엔 회원국들의 노력으로 저지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전쟁이 발발한 지 5일 후 캐나다 정부의 하원은 대한민국을 지원하는 데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캐나다 하원은 “우리는 집단 안보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캐나다 정부의 어떠한 조치에 대해 전적으로 지지할 것이다”라고 발표한다.

이날 국무총리 루이스 로날드는 “UN의 권한 하에 집단 안보 조처를 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에 캐나다는 터키가 그러했듯이, 여단 수준의 병력을 (대한민국에) 파병하게 된다.

캐나다군은 50년부터 53년까지 6·25(남침)전쟁에 가담하게 되며 약 2만6천 명에 해당하는 병력을 파병하고 8척의 구축함을 지원한다. 캐나다 항공기는 운송, 보급, 군수물자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516명의 캐나다 군인이 분쟁상황에서 전사하며 전사자 중 312명이 전투에서 발생한다. 전쟁 후 캐나다군은 군 감시자로서 3년 동안 남아있게 된다.

캐나다 개황

위치 : 미주대륙 북부
면적 : 998만㎢
인구 : 3,599만명(‘15.10)
수도 : 오타와
종교 : 가톨릭(44%), 기독교(29%), 무슬림(1.9%)
정체 : 내각책임제
언어 : 영어(59%), 불어(23%), 기타
1인당 GDP : $55,688(‘15년 3Q)
통화 : Canadian Dollar(C$)
실질 경제성장률 : 2.3%(‘15년 3Q)
실업률 : 7.2%(‘16년 1월)
환율 : 847원(‘16년 1월)

캐나다는 미주 대륙 북부에 있으며 면적은 998만㎢로 한반도의 46배에 상당한다. 영국계와 프랑스계가 인종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며 언어는 영어와 불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종교는 가톨릭 신자가 가장 많으며 그다음 기독교, 무슬림, 그리스정교 순으로 분포한다. 정부형태는 내각책임제를 띠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캐나다 사회를 잘 나타내주는 말이다. 1971년 각 인종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채택했다.

다문화주의를 통해 캐나다 정부는 인종·언어·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이 평등하다는 개방적인 사회건설을 추진했으나 국제사회 테러 위협의 점증적 증가로 다문화주의 기조는 유지하되 일부 정책상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 가평 전투에서 목숨을 잃은 전우를 기리고자 방한한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4개국 6·25 참전용사들이 22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 현충원에서 참배를 하기 위해 안으로 들어서고 있다. 2014.4.22 ⓒ 연합뉴스

한-캐 관계

캐나다는 남·북한 동시 수교국으로, 1963년 1월 14일 한국과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1965년 주캐나다 한국대사관이, 1974년 주한캐나다대사관이 각각 설치됐다.

한국-캐나다 양국 간 협정 체결 내용을 보면, 무역협정(1965), 원자력개발 응용에 관한 협정(1976), 이중과세 방지협정(1981), 세관협력에 관한 상호지원협정(1986), 양국간 항공서비스협정(1989), 사회보장협정(1997), 군사비밀정보교환 및 보호협정(1999), 한-캐 FTA(발효, 2015) 등이 체결됐다.

2015년 현재 對캐나다 수출액은 US $ 61억7천만, 수입액은 31억 5천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부품), 무선전화기, 반도체, 타이어, 건설중장비, 가전 등이 있고 주 수입품으로는 동광, 유연탄, 철광, 목재펄프, 원목, 돼지고기, 유채유 등이 있다. ‘14년 외교부 재외동포 현황에 따르면 한국 총 교민은 22만 4,054명에 상당한다.

류진석 기자 press@bluetoday.net

<저작권자 © 블루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