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화 북한 인권대사, 24일 서울에서 외신 기자들과 간담회
북한 내 인권 탄압 행위 예방위해, 감시·문서화·책임 규명 역할 감당 할 것
북한인권재단 설립은 북한인권법 이행의 문제, 文 정부 5년간 관련 부서가 많이 축소돼
![]() |
‘북한 인권 문제의 최우선순위는 인권 탄압 행위의 책임 규명’임을 신임 이신화 북한인권대사는 강조했다. 또한 국내 북한인권재단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북한 내 인권 탄압 행위 예방위해 감시·문서화·책임 규명 역할 감당 할 것
이신화 대사는 24일 서울에서 외신 기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대사는 지난달 말 외교부 북한인권국제협력 대사로 취임했다. 5년 동안 공석인 자리였다.
이 대사는 대사직을 수행하는 동안,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책임 규명’을 위한 역할의 중요성을 말했다.
이 대사는 대사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최우선순위는 책임 규명이라며, 북한 내 모든 인권 탄압 행위에 대해 감시하고 문서화하고 책임을 규명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런 행동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사는 이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 시민단체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인권재단 설립은 북한인권법 이행의 문제, 文 정부 5년간 관련 부서가 많이 축소돼
북한인권법 이행에 대해서도 지적이 이어졌다.
이 대사는 북한인권법은 한국에서 10년 이상 논의 끝에 2016년 뒤늦게 제정됐다며, 북한인권재단은 설립을 할지 말지 또는 이름을 바꿀지 말지의 문제가 아니라, 북한인권법 이행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 대사는 또 문재인 전임 정부 5년간 정부 부처 내 북한 인권 관련 부서가 많이 축소됐다며 이런 역할을 다시 살리고 북한인권단체들에 대한 지원도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준 press@blu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