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 1일 “나라의 왕으로 떠받들리우는 우린 어린이들”
2021 아동 영양실조 추정치 보고서 “북한 어린이 5명 중 1명 발육부진”
강제 노역, 노동수용소 감금, ‘성분’에 다른 교육기회 박탈
![]() |
지난 1일 ‘국제아동절’을 맞아, 북한이 어린이들을 정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며 주장했다. 그러나 국제사회나 탈북민들은 북한 어린이들의 인권 상황은 그와 다르다고 지적했다.
❚조선중앙 1일 “나라의 왕으로 떠받들리우는 우린 어린이들”
조선중앙통신은 1일 “나라의 왕으로 떠받들리우는 우린 어린이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
북한의 어린이들이 세상에 부러운 것 없이 자란다고 주장한 것이다. 북한은 어린이들이 보육교양제도 아래 어린이들이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했다.
❚2021 아동 영양실조 추정치 보고서 “북한 어린이 5명 중 1명 발육부진”
그러나 실상은 북한 정권의 주장과 다르다.
국제사회는 북한 어린이들의 인권 상황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세계보건기구(WHO), 세계은행은 공동 발표한 ‘2021 아동 영양실조 추정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어린이 5명 가운데 1명이 발육부진을 겪고 있다.
5세 미만 어린이(2020년 기준)의 경우 31만 7천 800명이 발육부진을 겪고 있다고 했다.
해당 보고서는 2020년 기준 북한의 5세 미만 어린이 18.2%가 발육부진을 겪고 있다. 31만 7천 800명이다.
북한 어린이들의 발육부진 비율은 3.2%다. 이는 미국의 6배, 한국(2.2%)의 7배에 달한다.
❚강제 노역, 노동수용소 감금, ‘성분’에 다른 교육기회 박탈
북한은 어린이들에 대한 권리 보호와 증진이 국가의 최우선 과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역시 다르다는게 국제 사회의 기적이다.
미 국무부는 지난 3월 발표한 연례 인권 보고서에서, 북한 당국이 어린이들을 강제 노역에 동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정권은 어린이들도 노동수용소에 감금시킨다. 부모와 탈북했다가 붙잡힌 어린이들에게서 최소한 5년간의 노동을 시킨다.
또한 북한은 12년 간의 무상 교육을 법적으로 보장한다. 그럼에도 ‘성분’제도에 따라, 일부 어린이들은 교육의 기회를 박탈 당하고 처벌을 당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주 press@bluetod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