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北韓 해외파견 노동자들 `대북제재 여파` 직격탄

기사승인 2018.11.16  00:01:00

공유
ad37
default_news_ad2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건설 현장의 북한 근로자들 사진=VOA

글로벌 인권단체인 save momo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중국 및 러시아, 동남아 지역에서 북한 해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근무실태 현황 (여론조사)를 조사했다.

“돈을 벌기 위해 뇌물까지 써가면서 외국에 나왔지만 이제 고향 (북한)으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니 답답하다.“ ○ 지역에서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으로 일하고 있 ○의 증언이다.

당시 설문 조사에 함께 참여했던 nkwatchcon.com Gideon 김은 설문조사의 구체적인 항목이나 대상은 공개하지 않았다. 북한 당국의 뒷 조사 등을 예상해서 `북에서 파견 나온 해외노동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지역이나 답변 대상자가 특정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설문에 응했던 북한 주민 100명 중 한 명인 김 씨는 북한에서 대학교를 졸업, 군 생활 동안 특수한 곳에서 근무했던 관계로 해외로 나가는 것이 금지된 대상이었다. 박 씨는 뇌물을 써서 군 생활 경력 신분을 속이고  간신히 해외에 나왔다고 한다.

파견 초기에는 목욕 시설이나 식당시설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공장 안에 숙소가 있었으나 돈을 벌어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에 묵묵히 참고 견뎌냈다고 밝혔다.

2017년까지 월급으로 200달러 정도 받았으나 실제로 손에 쥐는 것은 40불 정도였다. 차액은 노동당에 내는 충성자금과 현지에서 상급자들에게 받치는 뇌물로 사용된 것이다.

노동자 파견 특성상 회사 측이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당국에 “사상이 불순하다” 보고를 할 경우 다음 달에는 북한으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뇌물을 받치지 않았다가 해외 파견 두 달 만에 고향으로 돌아간 사람들도 있었다.

최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후 일감이 줄어들자 파견자들이 매일 같이 일을 하는 경우도 드물어졌다. 현지 고용업체가 대북제재로 불이익을 받을 우려 때문에 계약 사항 외에는 적극적으로 일을 주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지 당국의 감시와 통제로 업체와 계약된 일 외의 외주 수수 또한 쉽지 않다.

파견노동자 중 일부는 자신이 투자한 돈을 회수한 사람도 있지만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시행 전후로 나온 대부분의 파견자들은 원금 회수도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대북제재의 효과는 곳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대북 제재로 인해 파견 기간도 앞 당겨졌고 다시 해외로 나올 수 있는 방법도 현재 막혔다. 일부는 파견지역을 이탈해서 떠돌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거 이들을 구호했던 북한 인권 단체들은 현지 당국의 감시와 통제, 자금 부족 등의 이유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송금된 자금은 김정은 일가의 사치 생활과 핵 개발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정작 돈을 번 노동자들은 자신이 얼마를 벌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 채로  오직 노동에만 몰두해야 하고, 노예와 다를 바 없는 대우를 받으며 지금도 착취당하고 있다. 

 

박철호 press@bluetoday.net

<저작권자 © 블루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