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기획특집] 6.25 남침전쟁, 대한민국을 도와준 나라들 (21) 미국 ① 참전배경

기사승인 2016.06.29  11:14:18

공유
ad37
default_news_ad2

- 트루먼정부, 내외로 확산하는 공산주의 경계…자유민주주의 수호 위해 참전결정

1950년 6월 25일은 북한 공산군이 남한을 불법 남침한 6·25 전쟁이 벌어진 날입니다. 6·25남침 전쟁에는 세계로 확산하던 공산주의로부터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변두리 국가’였던 남한에 참전해 피를 나눈 국가가 있었습니다.

6·25 남침전쟁은 같은 동포가 우리에게 칼을 겨룬 전쟁이자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간 첨예한 대립이 빚은 국제적인 비극입니다.

본지에서는 6·25 남침전쟁 66주기를 맞아 UN참전 용사의 호국정신을 되새기고자 북의 공산화 전략으로부터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기꺼이 목숨 바친 UN 소속 국가의 참전 배경에 대한 기획특집을 연재합니다.

▲ 국제 기구 및 UN회원국들 브라질, 대만, 쿠바, 에콰도르, 아이슬란드, 레바논, 리베리아, 멕시코, 니카라과, 파키스탄,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그리고 베네수엘라도 전쟁 기간 동안 한국에 대한 물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 인터넷 캡처

1950년 6월 25일,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6·25 전쟁이 발발한다. 유엔은 3일 뒤인 28일 제2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 연합군을 결성하여 파병할 것을 결의했다.

유엔 연합군의 이름으로 전투병력과 장비 등을 보낸 전투지원 16개국과 병원선, 의료진, 의약품 등을 보급한 의료지원 5개국 등으로 총 21개국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을 결정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에 가장 많은 수의 병력 파병과 지원에 앞장섰던 동맹국가 미국의 6·25 남침전쟁 참전 배경을 알아보자.

미국의 6·25 남침전쟁 참전 배경

▲ 6.25 전쟁 미국 참전군 ⓒ 인터넷 캡처

미국이 한국 전쟁에 개입하게 된 경위를 보면 냉전 정세가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남침이 발발할 무렵 수많은 사건이 트루먼 대통령을 초조하게 만들었다. 소련은 1949년 미국의 독점 무기였던 핵무기 제조에 성공했다. 유럽에서는 그리스와 터키에 대한 소련연방의 개입이, 공산주의가 유럽 내에서 승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취지의 트루먼 독트린과 마셜 플랜을 수립할 만큼 위협적으로 다가온다.

아시아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도 미국 안보의 위협을 가중했다. 1949년 중국은 마오쩌둥과 공산당이 권력을 얻게 되는 혁명을 거치게 된다. 1950년 마오는 소련과의 동맹 체결을 서둘러 하게 된다. 트루먼 정부는 공화당으로부터 중국의 국민당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을 잃어버렸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트루먼 정부는 자국 내에서도 반공에 대한 접근 차원에서도 내부적 비판에 직면했다. 공화당 상원의원 조셉 맥커티는 그 당시 미 정부 내에서도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진압에 대해 악명이 높았다. 이러한 국내정세는 트루먼과 그의 조력자들이 대외적으로 공산주의에 대해 온건한 정책을 취할 수 없을 만큼의 압박을 가했다.

하지만 우리정부나 미국에서는 북한의 남침 징후를 예감하지 못했다. 1950년 1월에는 미국 국무장관 딘 애치슨이 미국의 극동방위선에서 한반도와 대만을 제외하는 애치슨 선언을 선포하게 된다.

그렇다고 완전히 한반도를 포기한 것은 아니다. 트루먼 정부는 공산주의가 확산되는 것을 경계했지만, 이 당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몇 해 되지 않은 때라 큰 전면전이 당장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군비를 축소한 것이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기습남침을 가하자, 트루먼 정부는 반공산주의 정부로부터 공산주의 군대의 침략을 막기 위한 절호의 기회를 포착한다. 공산주의에 또 하나의 국가를 잃어버리지 않고 반공정책에 앞장선다는 점을 강화하기 위해 트루먼 정부는 미국 땅이 아닌 국가와 세계에서 싸우고자 했다.

▲ 6.25 전쟁 당시 미합중국을 이끈 트루먼 대통령 ⓒ 인터넷 캡처

전쟁발발 소식을 접한 미국은 2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긴급히 소집하여 북한의 무력 공격은 평화를 파괴하는 ‘침략 행위’라 선언하고, 결의안을 통해 “침략 행위 중지 및 38도선 이북으로의 철수”를 요구했다.

북한군이 이를 무시하고 계속 남침하자 6월 27일 유엔은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해 회원국들에 대해 북한의 무력 공격을 격퇴하고 국제 평화와 한반도에서의 안전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필요한 원조를 한국에 제공할 것을 결정한다.

트루먼의 반공 정책은 단지 국내적 압박에서 비롯된 것만은 아니었다. 대한민국에 대한 (북한의) 기습남침은 소련과 중국이 아시아 전역으로 공산권을 확대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위협적으로 다가왔다.

트루먼은 그의 조언자들에게 북한의 남침이 소련에 의해 자행된 점이 분명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북한의 기습남침은 미국의 전쟁개입에 대한 도덕적인 명분을 제공하였고 “당장 전쟁에 참전하지 않는다면 그들이(공산주의 세력) 무엇을 할지 모른다”며 그의 공식 선언문에서 반공산정부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내보였다.

그러나 그의 조언자들은 전쟁으로 얻을 ‘득’보다 ‘실’이 많다며 파병하지 말라고 직언했다. 그럼에도 트루먼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미군을 대한민국에 파병하는 결정을 내렸다.

트루먼 대통령은 6월 27일 한국 전쟁에 관한 발표 성명문에서 “한국에 대한 공격은 공산주의가 독립제국을 정복하기 위해 파괴공작의 범위를 뛰어넘어 무력침공과 전쟁수단을 사용하게 된 것을 의심할 여지없이 드러내고 있다”며 “UN의 모든 회원국이 최근 한국에서 UN헌장을 무시하고 감행되고 있는 침략의 결과를 주의 깊게 고려하고 있는 줄 알고 있다. 국제문제에서 무력 지배로의 복귀는 막대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곧이어 6월 29일 동경(東京)에 있던 극동군 사령관인 맥아더(MacArthur,D. S. ) 원수가 내한해 전선을 시찰하고 미 국방성에 지상군의 파견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트루먼 대통령은 6월 30일, 맥아더 장군에게 지상군 투입과 38선 이북의 군사 목표를 폭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미국은 7월 5일 최초로 스미스 특수임무부대를 오산 전투에 투입한다. (계속)

류진석 기자 press@bluetoday.net

<저작권자 © 블루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